약품정보

비타민케이 주사액 (성분/효능/투약방법/부작용/주의사항)

버킷리스트100 2021. 3. 29.
반응형

비타민케이 주사액

성분

비타민K 10mg/ml

 

효능

주사제

-신생아 출혈성질환의 예방과 치료

-급성 또는 경구투여가 어려운 경우의 비타민K 결핍 또는 비타민 K의 활성이상으로 인한 다음의 응고질환

:쿠마린유도체에 의한 항응고제 유도성 프로트롬빈 결핍증

:항생제, 실리실산 제제 등에 의하여 2차적으로 발생되는 저프로트롬빈혈증

-비타민 K의 합성 또는 흡수 제한으로 인하여 2차적으로 발생되는 저프로트롬빈혈증

 

투약방법

주사제

-신생아 출혈성질환의 예방

:출생 1시간 이내에 피토나디온으로서 0.5~1mg을 단회 근육주사한다.

-신생아 출혈성질환의 치료

:이 약으로서 1mg을 근육 또는 피하주사한다. 모체가 항응고제를 투여하는 경우에는 고용량이 요구될 수 있다.

-항응고제 유도성 프로트롬빈 결핍증

:성인 -> 초회 이 약으로서 2.5 - 10mg 또는 최대 25mg까지 투여, 드물게 50mg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필요 시, 6-8시간 이후 반복 투여할 수 있다.

:소아/영아 -> 초회 이 약으로서 2.5 - 10mg (영아 : 1-2mg)을 근육 또는 피하주사, 필요 시 6-8시간 이후 반복투여할 수 있다.

-다른 원인으로 인한 저프로트롬빈혈증

:성인 -> 이 약으로서 2.5-25mg, 최대 50mg까지 투여할 수 있다.

 

 

부작용

일시적인 홍조감, 미각변화, 어지러움, 빈맥, 발한, 단기간의 저혈압, 호흡곤란, 청색증, 흉부압박감, 급성말초혈관부전증

기관지경련, 쇽, 심장 또는 호흡정지가 나타날 수 있다.

발진, 두드러기, 또는 아나필락시양 과민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주사부위의 동통, 부종, 압통, 지연성 경결, 발적, 종창, 발진양의 피부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홍반성, 경화성 플라크가 형성되며 드물게 장기투여 시 피부경화성 병변으로 악화될 수 있다.

신생아 특히 미숙아에게 출생 후 처음 수일 동안 이 약을 과량투여할 경우 드물게 고빌리루빈혈증, 중증 용혈성빈혈, 혈색소뇨증, 핵황달 및 대뇌손상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정맥 또는 근육주사 후의 사망 사례가 있었다.

 

주의사항

쿠마린계 항응고제의 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광범위 항생제, 퀴니딘, 퀴닌, 고용량의 살리실산염은 이 약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콜레스티라민, 광유는 이 약의 흡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병용 시, 투여 1시간 전 또는 4시간 후에한다.

 

임신 중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이 약의 유즙으로 이행 여부는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수유부 투여시, 특히 주의한다.

 

신생아에서 용혈, 황달, 고빌리루빈혈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과량(10-20mg)투여하지 않는다.

소아투여 시는 혈액학자의 자문을 구하도록 한다.

비타민 K 주사 투여로 소아에게서 발암가능성이 있다는 역학조사연구 보고가 있으므로 경구투여가 부적절한 경우 외에는 주사제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고령자는 이 약의 투여로 항응고작용을 역전시키는데 보다 민감하므로 추천용량범위의 하한 용량을 사용해야 한다.

 

이 약을 과량투여 했을 경우에는 프로트롬빈을 억제하는 항응고제를 다소 과량 투여하거나 헤파린 같은 다른 기전으로 작용하는 항응고제를 투여하여 증상을 역전시킨다.

 

 

반응형

댓글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