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품정보
데파스정 (성분/효능/투약방법/부작용/주의사항)
반응형
데파스정
성분
- 에티졸람 500μg
효능
- 신경증에서의 불안, 긴장, 우울, 신경쇠약증
- 우울증에서 수반하는 불안 및 긴장
- 정신 신체장애(고혈압, 위&십이지장 궤양)에서의 불안, 긴장, 우울
- 불안, 긴장, 우울 및 근긴장 : 경추증, 요통, 근수축성 두통
- 수면장애 : 신경증, 우울증, 정신분열증, 정신 신체장애(고혈압, 위&십이지장 궤양)
투약방법
- 신경증, 우울증 : 에티졸람으로서 1일 3㎎을 3회 분할 경구 투여한다.
- 정신신체장애, 경추증, 요통, 근수축성 두통 : 1일 1.5㎎을 3회 분할 투여한다.
- 수면장애 : 1일 1회 1-3㎎을 취침 전 투여한다.
- 고령자는 1일 1.5㎎까지 투여한다.
-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부작용
- 의존성(빈도 불명) : 약물 의존성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신중히 투여한다. 또한 투여량의 급격한 감소 또는 투여 중지에 의하여 경련발작, 헛소리, 진전, 불면, 불안, 환각, 망상 등의 이탈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투여를 중지할 경우에는 천천히 감량하는 등 신중히 투여한다.
- 호흡억제, 탄산가스 혼수(빈도 불명) : 호흡억제가 나타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호흡기능이 고도로 저하된 환자에 투여할 경우 탄산가스 혼수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기도를 확보하고 환기를 하는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한다.
- 악성 증후군(빈도 불명) : 정신병 치료제와의 병용에 의하여 악성 증후군이 나타나게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강한 근 강축, 삼킴 곤란, 빈맥, 혈압의 변동, 발한 등이 나타나고 이와 동시에 발열이 관찰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동시에 몸을 차게 하고 수분을 보급하는 등의 전신 조절 및 적절한 처치를 한다.
- 횡문근융해증(빈도 불명) : 근육통, 무력감, CK(CPK) 상승, 혈중 및 요중 미오글로빈 상승을 특징으로 하는 횡문근융해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 간질성 폐렴(빈도 불명) : 간질성 폐렴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발열, 기침, 호흡곤란, 폐 음이상(염발음) 등이 인정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신속히 흉부 X선 등의 검사를 실시하고 코르티코이드의 투여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한다.
- 간 기능 장애, 황달(둘 다 빈도불명) : 간기능 장애(AST, ALT, γ-GTP, LDH, ALP, 빌리루빈 상승 등), 황달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상이 인정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 눈 : 안구진탕, 시력 불선명 등 시각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 호흡기계 : 드물게 호흡곤란이 나타날 수 있다.
- 순환기계 : 드물게 심계항진, 기립성 조절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 소화기계 : 때때로 구갈, 구역, 드물게 식욕부진, 위·복부 불쾌감, 구토, 복통, 변비,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과민증 : 때때로 발진, 드물게 두드러기, 가려움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 근골격계 : 때때로 권태감, 무력감, 드물게 쉬피로감, 근이완 등의 근긴장 저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기타 : 유루증, 여성형 유방, 고프로락틴 혈증, 때때로 발한, 배뇨장애, 부종, 코막힘이 나타날 수 있다.
주의사항
- 졸음, 주의력·집중력·반사운동능력 등의 저하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 약을 투여 중인 환자는 자동차 운전 등 위험을 수반하는 기계 조작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을 정신병의 1차 선택 약물로 사용하지 않는다.
-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을 우울증이나 우울성 불안에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자살경향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신중히 투여한다.
- 일반적인 항불안 효과를 목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가능한 한 단기간 투여한다. 많은 경우 총 치료기간은 4~12주를 넘지 않도록 하며 장기간 투여가 필요한 경우 정기적으로 환자의 증상을 재평가한 후 투여한다. 투여를 중지할 경우에는 점진적으로 감량한다.
- 장기간 치료 시에는 혈액검사, 간 기능 검사 및 요검사를 정기적으로 한다. 다음 약물과의 병용 또는 알코올 섭취에 의하여 중추신경억제작용이 증강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부득이하게 투여하는 경우에는 신중히 투여한다.
- 다른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을 병용 투여하는 것은 약물 의존성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 과량투여 시 운동실조, 저혈압, 호흡억제, 의식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반응형
'약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다페드정 (성분/효능/투약방법/부작용/주의사항) (0) | 2021.08.17 |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혈전위험, 30대에서 높다 (0) | 2021.08.16 |
투리온정 (성분/효능/투약방법/부작용/주의사항) (0) | 2021.08.15 |
이소티논연질캡슐 (성분/효능/투약방법/부작용/주의사항) (0) | 2021.08.14 |
훼로바유 서방정 (성분/효능/투약방법/부작용/주의사항) (0) | 2021.08.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