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품정보

케프라 주사 (성분/효능/투약방법/부작용/주의사항)

.이사원 2021. 3. 25.
반응형

케프라 주사

 

성분

레비티라세탐 500mg

경구약 - 케프라 정 250mg(레비티라세탐 250mg)

 

효능

1. 단독요법

- 처음 간질로 진단된 2차성 전신발작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부분 발작의 치료(16세 이상)

2. 부가요법

- 기존 1차 간질치료제 투여로 적절하게 조절이 되지 않는 2차성 전신발작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부분 발작의 치료(16세 이상)

- 소아 간대성 근경련 간질(Juvenile Myoclonic Epilepsy) 환자의 근간대성 발작의 치료(16세 이상)

- 특발성 전신성 간질(Idiopathic Generalized Epilepsy) 환자의 1차성 전신 강직-간대 발작의 치료(16세 이상)

투약방법

*케프라 주사(레비티라세탐 주사제)는 경구투여가 일시적으로 불가능한 환자에게 투여한다.

*주사제는 정맥으로만 투여하며 반드시 투여 전에 희석되어야 한다.

투여용량을 100ml의 배합 가능한 희석제로 희석하고, 15분간 정맥 주입(IV)한다.

경구에서 정맥 또는 그 반대로 투여경로를 바꾸는 경우, 용량 적정 없이 바로 투여할 수 있으며, 1일 총 투여량 및 투여 횟수는 동일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투여량 희석제 용량 주입시간 투여횟수 1일 총 투여량
250mg 100ml 15분 1일 2회(BID) 500mg
500mg 100ml 15분 1일 2회(BID) 1000mg
1000mg 100ml 15분 1일 2회(BID) 2000mg
1500 100ml 15분 1일 2회(BID) 3000mg

1일 용량은 1일 2회 균등한 용량으로 나누어 투여한다.

 

1. 단독요법으로 사용될 경우

초회량은 1일 2회, 1회 250mg으로 시작하여, 2주 후 1일 2회, 1회 500mg으로 증량 투여하도록 한다.

임상적 반응에 따라, 2주마다 1일 500mg[1회 250mg, 1일 2회]씩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투여량은 1일 3000mg[1일 2회, 1회 1500mg]이다.

 

2. 부가요법으로 사용될 경우

- 부분 발작 : 1일 2회, 1회 500mg으로 투여를 시작한다. 임상적 반응과 내약성에 따라, 2주 내지 4주마다 1일 1000mg[1회 500mg, 1일 2회]씩 증량 혹은 감량할 수 있으며, 최대 권장용량은 1일 3000mg이다.

- 소아 환자의 근간대성 발작 :  1일 2회, 1회 500mg으로 투여를 시작한다. 용량은 2주마다 1일 1,000mg씩 증량하여 권장 1일 용량인 3,000mg까지 증량한다.

- 특발성 전신성 발작 : 1일 1,000mg[1일 2회, 1회 500mg]으로 투여를 시작한다. 용량은 2주 마다 1일 1,000mg[1회 500mg, 1일 2회]씩 증량하여 권장 1일 용량인 3,000mg[1회 1,500mg, 1일 2회]까지 증량한다.

 

부작용

졸음, 피로, 무력증, 행동이상(불안, 초조, 감정둔마, 이인증, 우울, 감정적 불안정성, 적개심, 운동 과다증, 신경과민, 인격장애 등)과 같은 중추신경계 이상반응이 타나날 수 있다.

졸음, 무력증, 협조 운동장애는 이 약 투여 후 첫 4주 이내에 가장 빈번히 발생한다.

레비티라세탐은 자극 과민성 및 공격성을 포함한 정신병적 증상과 행동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

 

주의사항

*레비티라세탐 청소율이 신기능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신장기능에 따라 개별적으로 투여한다.

주사제는 16세 미만의 소아에 대해 안전성 및 유효성이 확립되지 않았으므로 투여가 권장되지 않는다.

신기능이 약화된 노인 환자는 용량조정이 권장된다.

항간질 약을 복용한 환자에서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을 보이는 위험성이 증가되므로 항간질약을 치료받은 환자는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 우울증의 발현 또는 악화 및 기분과 행동의 비정상적 변화에 대하여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우울 및 자살 상상의 증상이 있는 경우

주사제는 바이알 당 0.313mmol(7.196mg)의 나트륨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저염식이요법 중인 환자

신장애 환자에 이 약을 투여하는 경우

중대한 무력감, 발열, 재발성 감염 또는 응고장애를 경험한 환자의 경우

자극 과민성 및 공격성을 포함한 정신병적 증상과 행동이상 발현된 경우

반응형

댓글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