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간호

소아 천식(Asthma)

버킷리스트100 2021. 8. 10.
반응형

소아천식

정의

소아 천식은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으로, 성인과 마찬가지로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합쳐져서 발생한다.

천식을 유발하는 인자로는 원인 물질과 악화 요인이 있다.

원인 물질은 알레르겐으로 불리며, 집 먼지 진드기, 꽃가루, 동물 털, 곰팡이, 식품 혹은 약물 등이 있다.

악화 요인으로는 감기, 황사, 담배 연기, 운동, 스트레스 등이 있다.

병력 청취에서 기침, 쌕쌕거림, 숨참 등의 특징적 호흡기 증상이 반복되고, 진찰에서 천명음이 청진되며, 정밀검사에서 기관지 과민성 혹은 증대된 기관지 확장제 반응을 확인하면 천식으로 확진할 수 있다.

증상

기침

  •  빈발, 발작적, 불안정하며 분비물이 없음
  •  거품이 있고 맑고 끈적끈적한 객담 배출

호흡과 관련된 증상

  • 짧은 호흡
  • 호기의 지연
  • 귀와 뺨이 붉어짐, 입술은 암적색을 나타냄
  • 손톱 밑이나 구강주위에 청색증이 나타남
  • 발작이 진행됨에 따라 융기된 부분에 발한이 나타남

치료

천식에 사용되는 약제는 크게 두 종류로 분류된다.

1.급성 천식 증상을 위한 완화제

-속효성 B2-항진제 : 증상의 완화제로 우선적으로 추천되는 약물 (ex : ventolin nebulizer)

-항콜린제 : B2 항진제에 비해 기관지 확장 효과가 떨어지며 속도가 늦어 일차적으로 선택되어 지지는 않음

2.알레르기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조절제

-스테로이드제 : 기도 과민성의 개선 및 운동 유발성 기도수축 예방 효과가 있음 (ex : budecort nebulizer, corisolu, solondo)

-류코트리엔 조절제 : 기관지 확장 효과 및 폐기능 개선, 알레르기 염증 반응의 조절

3.기타

테오필린, 경구용 항알레르기제, 지속성 B2 항진제 등

 

반응형

댓글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