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간호
카바메이트 중독(Carbamate insecticides)
반응형
카바메이트 중독(Carbamate insecticides)
중독의 정의
카바메이트 중독(Carbamate insecticides)이란?
임상증상
임상검사
치료
중독의 정의
- 모든 물질은 잠재적 독물이며, 다만 용량의 문제일 뿐 독성이 없는 물질은 없다.
- 중독에는 독성을 지닌 음식물이나 약물 등의 물질이 몸에 들어와서 이상반응이나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뜻하는 신체적 중독(Intoxication/Poisoning)과 약물, 사상, 사물 등에 빠져 정상적으로 판단할 수 없는 상태를 뜻하는 정신적, 의존적 중독(Addiction)이 있다.
카바메이트 중독(Carbamate insecticides)이란?
- 카바메이트계 농약은 농작물 살충제로써 다양한 종류가 제조되고 있으며, 농촌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따른 중독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 카바메이트계 농약을 자살 목적 외에도 불의의 사고로 중독을 일으키는 경우도 많다.
- 가정, 정원용, 농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하는 살충제 등 다양하다.
-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이 인체에 들어오는 경로는 약을 마시거나 흡입되어 들어오는데 일단 흡수가 되면 다양한 부교감 신경계 증상을 유발하게 된다.
유기인산염 중독(Organophosphate)
유기인산염 중독(Organophosphate) 중독의 정의 유기인산염 중독(Organophosphate)이란? 중독기전 임상증상 및 검사 치료 간호사가 생각해 볼 것 중독의 정의 모든 물질은 잠재적 독물이며, 다만 용량의
nurselab.tistory.com
임상증상
1. 단기간의 중독증상
- 흡입, 경구 경로로 비교적 빨리 흡수되며, 경피를 통한 경한 독성도 가능하다.
- 카바메이트 중독이되면 호흡근을 마비시켜 호흡부전으로 인공호흡기 처치를 받게 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한다.
- 심혈관계에도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부정맥과 전도 장애, ST-T 변화와 같은 심전도 이상과 혈압과 맥박수와 같은 생체징후의 변화 및 폐부종이나 폐렴 소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부정맥 중에는 심실빈맥이나 심실세동과 같은 심정지를 유발시킬 수 있는 악성 부정맥도 발생할 수 있다.
- 노출 후 30~90분 이내 발현되는 짧은 증상 기간이 특징적이다. 유기인계 살출제에 비해 대사가 빨라 짧은 증상을 가지고 있다.
2. 콜린성 징후(SLUDGE)
- Salivation, Lacrimation, Urination, Defecation, GI motility, Emesis
임상검사
- 혈청 pseudocholinesterase와 적혈구 AChE
- 1~2시간 이내에 검체를 확보해야 한다.(카르바밀화 재활성화로 수치가 정상)
치료
1. Atropine
아트로핀황산염주 (성분/효능/투약방법/부작용/주의사항)
아트로핀황산염주 성분 아트로핀황산염수화물 0.5mg/ml 효능 위장관의 경련성 동통 담관,요관의 산통 경련성 변비 위, 십이지장 궤양에서의 분비 및 운동 항진 방실전도장애 미주신경성 서맥 마
nurselab.tistory.com
- 급성 콜린양 증상의 완화 목적으로 하며 동공의 확대, 건조한 피부, 구강건조, 동성 빈맥 등을 기준으로 한다.
2. Pralidoxime(PAM-A)
파무에이주 (성분/효능/투약방법/부작용/주의사항)
파무에이주 성분 프랄리독심 염화물 500mg/20mL 효능 유기인 제제의 중독 치료 투약방법 성인 : 염화프랄리독심으로서 1일 1회 1-2g을 생리식염 주사액 100mL에 용해시켜 15-30분 이상에 걸쳐 점적 정맥
nurselab.tistory.com
- 유기인계 중독에스는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으나 카바메이트계 중독에서는 Atropine의 효과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Atropine투여에 대한 충분한 반응을 보이지 않을 경우 제한을 하고 있다.
간호사가 생각해 볼 것
- 카바메이트 중독은 심혈관계 합병증 특히 심실성 부정맥과 QTc 연장 소견과 저산소증, 대사성 산증, 혈압 변화 등 상당히 다양하게 나타난다.
- 환자의 EKG rhythm 변화, V/S, ABGA 검사 결과에 신경쓸 필요가 있다.
- 타액, 눈물, 소변량, 배변, 위장관 운동량, 구토와 같은 SLUDGE 증상에 관하여 monitoring 할 필요가 있다.
반응형
'응급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서제 중독(Rodenticides) (0) | 2021.09.09 |
---|---|
제초제 중독(Glyphosate and Glufosinate herbicides) (0) | 2021.09.08 |
유기인산염 중독(Organophosphate) (0) | 2021.09.01 |
소아 천식(Asthma) (0) | 2021.08.10 |
아나필락시스 (anaphylaxis) (0) | 2021.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