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간호
제초제 중독(Glyphosate and Glufosinate herbicides)
반응형
제초제 중독(Glyphosate and Glufosinate herbicides)
Glyphosate란?
Glyphosate 중독기전/임상검사 및 증상/치료
Glufosinate란?
Glufosinate 중독기전/임상증상/치료
간호사가 생각해 볼 것
Glyphosate란?
- Glyphosate Surfactant Herbicide(Glyphosate-SH)는 파라콰트(그라목손)에 비해 독성이 적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광범위 비선택성 제초제를 칭한다.
Glyphosate 중독기전
- Glyphosate는 포유동물에는 존재하지 않는 대사 기전 shikimic acd 경로를 억제하여 식물생장에 필수적인 비타민이나 많은 부산물의 생성을 막아 식물체를 고사시킨다.
- 아직 정확한 기전을 밝혀내지 못했다.
임상검사 및 증상
- 임상검사
- Glyphosate-SH 200~250ml 음독한 사람에게는 혈중 k+ 농도가 10~20 시간 뒤에 5.4~7.0 mEq/L 상승된다.
- 임상증상
- 음독한 경우 피부와 눈에 자극성, 위장관 점막 손상 및 복통, 설사, 심장독성에 따른 저혈압, 폐울혈에 의한 호흡곤란, 대사성 산증, 환기 부전, 빈뇨, 사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인후통, 오심, 구토, 발열
- 30~60ml Glyphosate 음독 후 15분 이내 구토, 후두부 통증, 오심, 6~8분 이내 설사가 약 일주일 이상 지속된다.
분 류 | 음독량(ml) | 증 상 |
무증상 | 1~34 | 이학적 검사에서 무증상 및 정상소견 |
경도 | 35~129 | 위장관 증상 24시간 이내 회복 구강 및 인후두부에 통증, 오심, 구토, 설사, 복통 |
중증도 | 130~179 | 위장관 증상 24시간 지속, 다른 장기손상 구강내 궤양, 식도염, 위염, 위장관 출혈, 산염기 불균형, 핍뇨 |
중증 | 180~ | 기관내 삽관이 필요한 호흡곤란, 저혈압, 신부전, 혼수, 경련, 사망 |
치료
- Glyphosate-SH는 해독제가 없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다.
- 오염 제거
- 피부 : 많은 물과 비누로 깨끗하게 씻고, 눈에 노출된 경우 생리식염수를 관주 시킨다.
- 위장관 : 위세척 및 활성탄을 투여한다.
- 체위 제거 : 혈액투석
Glufosinate란?
- 현재 판매되고 있는 대표적인 제초제이다.(가장 흔한 상품은 '바스타'가 있다.)
- 토양 진균인 streptomyces hydroscopicus에서 추출된 성분을 이용하며, 1984년 일본에서 처음으로 합성된 비선택성 제초제이다.
- 파라콰트에 비해 적은 독성으로 국내에서도 많이 이용된다.
Glufosinate 중독기전
- Glutamine 합성제를 억제하여 식물체내의 암모니아 대사를 방해하여 암모니아를 증가시킨다.
- 암모니아의 증가로 광합성이 저해되어 식물이 조사되고 포유동물은 혈중 Glutamine 농도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 Glufosinate는 분자량이 작고 강한 극성으로 BBB는 통화하지 못한다.
- CSF에서 transport system에 의해 뇌로 들어가 중추신경계 중독 증상을 발생시킨다.
임상증상
- 바스타는 음독한 양과 관계없이 발생하며, 20~500ml까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한다.
- 초기 증상 : 전신증상, 구강 식도 자극증상, 오심, 구토, 혈압 저하
- 순환기계 독성
- 중추신경계 독성 : 전신경련, 발작, 후향성 기억상실
분 류 | 임상 증상 |
기타 독성 | 오심, 구토, 설사, 복통, 발열(38~40도), 전신부종 |
순환기계 독성 | 혈압저하, 순환부전 |
중추신경계 독성 | 의식변화, 조화운동 불능증, 진전, 안구 운동장애, 경련, 발작, 혼수, 중추성 무호흡, 호흡마비, 후향적 부분기억상실 |
치료
- 바스타는 해독제가 없다.
- 흡수가 지연되는 경우가 있어 일정량 음독한 경우 48시간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
- 오염 제거
- 피부 : 많은 물과 비누로 깨끗하게 씻고, 눈에 노출된 경우 생리식염수를 관주 시킨다.
- 위장관 : 위세척 및 활성탄을 투여한다.
- 체위 제거 : 혈액투석
- 바스타 중독의 분류 및 치료
분 류 | 음독량(ml) | 치 료 |
무증상 | 20~100 | 지연성 중독 작용의 발생에 대비 48시간 경과 관찰 |
계면활성제 전신 증상 |
20(한모금 이상) | 위장관 제독 급성 폐부종/손상 - 기관내 삽관 및 기계호흡 혈압저하 - 혈압 상승제, 혈액투석/관류 |
중추신경계 증상 | 100~500 | 경련, 발작 호흡곤란, 무호흡 - 기관내 삽관 및 기계호흡 중추신경계 증상 - 보존적 치료, 조기 혈액투석/관류 |
기타 증상 | 구강 및 인후두부 통증, 오심, 구토, 설사, 복통 중추성 뇨붕증 - 경비강 desmoprssin 부분 기억상실 - 회복에 오랜 기간이 소요 |
간호사가 생각해 볼 것
- 제초제는 자살 목적으로 음독해서 병원에 오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
- 제초제를 음독 후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음독한 환자가 병원에 와서 아무렇지 않다고 집에 보내달라고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지연성 중독 작용에 대해 알고 설명해 줄 필요가 있다.
- 중환자실에서 제초제 중독 환자를 간호할 경우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근무 도중 사소한 것 하나에도 변화가 있다면 경과를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반응형
'응급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라콰트/그라목손 중독(Paraquat/Gramoxone) (1) | 2021.09.13 |
---|---|
살서제 중독(Rodenticides) (0) | 2021.09.09 |
카바메이트 중독(Carbamate insecticides) (0) | 2021.09.02 |
유기인산염 중독(Organophosphate) (0) | 2021.09.01 |
소아 천식(Asthma) (0) | 2021.08.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