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지식

건선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버킷리스트100 2022. 6. 27.
반응형

건선

건선

정의

은백색의 비늘로 덮여 있으며 경계가 뚜렷하고 크기가 다양한 붉은색의 구진이나 판으로 구성된 발진이 전신의 피부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

원인

피부에 있는 면역세포인 T세포의 활동성이 증가된 결과로 분비된 면역 물질이 피부의 각질세포를 자극해 각질세포의 과다한 증식과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피부 세포가 빠르게 자라나고 정상적인 분화에 장애가 발생돼 피부위에 비듬같은 각질이 겹겹이 쌓여서 보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됨에 있어서 유전적, 환경적, 약물, 피부자극, 건조, 상기도 염증,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되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

피부에 작은 좁쌀 같은 발진이 생기며 그 위로 하얀 비듬같은 각질이 겹겹이 쌓이는 만성 피부병으로 좁쌀 같은 발진은 주위에서 발생한 새로운 발진들과 서로 뭉쳐지거나 커지며 주위로 퍼져 나간다. 많이 퍼지는 경우에는 거의 전신의 피부가 발진으로 덮이기도 한다. 이같은 경과를 거치며 건선은 만성적으로 진행되는데 때로는 저절로 조금씩 좋아지기도 하고 반대로 전신으로 퍼지기도 한다. 가려움이 동반되기도 하지만 습진 등의 다른 피부병에 비해 심하지 않은 편이다.통상적으로 건선은 무릎과 팔꿈치에 많이 생기며 그 다음으로 엉덩이나 머리 피부에도 흔하게 나타난다. 이런 피부 부위는 건선이 가장 먼저 생기는 부위이기도 하며 그 다음으로는 팔, 다리 및 몸의 다른 부위에 생기며 이어서 손과 발 등에 생기기도 한다.

진단

특징적인 피부 발진의 모양과 생긴 부위, 병의 경과와 병력 등을 바탕으로 임상적으로 진단 할 수 있다.전형적인 건선 병변의 모양은 작은 좁쌀 같은 발진으로 시작해 그 위에 새하얀 비듬같은 각질이 나타나고 주위에서 발생한 새로운 발진들과 서로 뭉쳐지거나 커지며 주위로 퍼져 나간다.임상적인 양상으로 진단되어지는 경우 외에 조직검사를 시행해 확진하는 경우도 있다. 조직검사는 건선의 확진 뿐만아니라 병의 진행 정도를 짐작하게 하며 건선과 비슷하게 보이는 다른 피부병과 감별하기 위해서도 시행한다. 조직검사는 국소 마취 후 병변을 3-6mm정도 떼어 병리과로 보내 조직을 판독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로 만든다. 그리고 이를 현미경으로 면밀히 관찰하여 판독하게 된다.

치료

- 국소치료- 광선치료- 약을 복용하는 전신치료- 위 방법을 두가지 이상 복합한 복합치료치료법의 선택 기준은 건선의 심한 정도, 활성도, 병변의 형태와 상태, 발생 부위뿐만 아니라 환자의 나이, 동반 질환 여부, 치료수행 가능 여부 등이 있다. 가벼운 경우에는 대개 바르는 약으로 치료를 시작하며, 중등증이나 중증이 되면 광선치료나 먹는 약으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부작용 등으로 이러한 치료를 받을 수 없는 중증 건선 환자를 대상으로 생물학적 제제 치료가 사용되기도 한다.

 

 

반응형

댓글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