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수부외과학] 손의 근육과 건

.이사원 2021. 5. 28.
반응형

[수부외과학] 손의 근육과 건

  • 손을 만져보면 크게 근육이 느껴지지 않는다. 그럼 손가락을 움직이는 근육이 무엇일까?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펴는 근육은 손가락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손바닥과 아래팔에 분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손가락을 주먹을 쥐었을 때 팔의 근육이 수축하여 단단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 손의 근육과 건은 크게 외재성 신전근(Extrinsic extensors), 회내근과 회외근(Prosnator and Supinator), 외재성 굴곡근(EXtrinsic flexor), 내재근(Intrinsic muscle)으로 나눌 수 있다.

 

<차례>
외재성 신전근(Extrinsic extensors)
회내근과 회외근(Prosnator and Supinator)
외재성 굴곡근(EXtrinsic flexor)
내재근(Intrinsic muslce)

 

외재성 신전근(Extrinsic extensors)

외재성-신전근

  • 외재성 신전근(Extrinsic extensors)은 전완부와 수부의 후방에 있고 요골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상완 요골근은 주관절의 굴곡근 역할을 하지만 요골신경에 지배받기 때문에 신전근에 포함된다.
  •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 muscle)과 장 요수근신전근은 상완골의 외상과 능선(supracondylar ridge)에서 시작한다. 네 개의 표층 신전근(단요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총수지신근 Extensor digitorum, 소지신근 Extensor digiti minimi, 척측수근신근 Extensor carpi ulnaris)은 상과 능선과 외상과(Lateral epicondyle)에 부착하는 총 신전근에서 시작한다.
  • 신전근은 기능에 따라 분류 가능하며, 장요측수근신근(Extensor carpi radialis lungus)과 단요측수근신근(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 척측수근신근(Extensor carpi ulnaris)은 수근부 신전의 역할을 하고, 총수지신근(Extensor digitorum)과 시지신근(Extensor indicis), 소지신근(Extensor digiti minimi)은 수지의 신전근이다. 3개의 외재성 신전근(장무지외전근 Abducotr pollicis longus, 단무지신근 Extensor pollicis brevis, 장무지신근 Extensor pollicis longus)은 무지의 운동을 돕는다.

 

회내근과 회외근(Pronator and Supinator)

회내근과-회외근

  • 원형회내근(Pronator teres)은 총 굴곡근 기시부에서 기시 하고 요골의 중간 부위에 붙어있다. 원형회내근은 정중신경의 지배를 받고, 주로 전완부의 회내전 역할을 하며, 약하지만 주관절의 굴곡근 역할도 한다.
  • 방형회내근(Pronator quadratus)은 원위 요골과 척골을 가로지르는 짧고 넓은 근육으로, 정중신경의 지배를 받고 전완부의 회내전근으로써 역할을 한다.
  • 팔꿈치 관절부에서의 정중신경의 압박이나 만성 자극이 지속되면 손가락을 꽉쥔 강한 회내동작에 통증이 생기는 게 이것은 회내근 증후군(Pronator syndrom)이라 한다.
  • 회외근(Supinator)은 상완골의 외상과에서 기시하여 요골의 근위 1/3에 붙어있으며, 요골신경의 심부 분지의 지배를 받고 일차적으로 회외전근으로써 역할을 하며, 상완 이두근의 도움을 받는다.

 

외재성 굴곡근(Extrinsic flexor)

외재성-굴곡근

  • 수지의 외재성 굴곡건은 지간 관절의 굴곡을 담당하며, 수근 관절과 중수지관절의 능동적인 굴곡을 보조한다.
  • 굴곡근은 전완부와 수근부에서 수장 측에 위치하며, 척골 신경 지배를 받는 척측수근굴근(Flexor carpi ulnaris)과 환지와 소지의 심지굴근(Flexor digitorum profundus)을 제외하고는 모두 정중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 요측수근굴근(Flexor carpi radialis), 척측수근굴근(Flexor carpi ulnaris) 그리고 장 수장근은 수근부를 굴곡한다. 수지굴근(천지굴근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심지굴근 Flexor digitorum profundus, 장무지굴근 Flexor pollicis longus)은 수근관을 통과하고 수지와 무지(Thumb)의 굴곡을 담당한다.

외재성 굴곡근 검사

  • 심지굴근(Flexor digitorum profundus)의 기능은 각각의 원위지골의 능동 굴곡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심지굴근은 이 관절의 유일한 굴근이지만, 근위지골 또한 구부릴 수 있기 때문에 천지굴근(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의 문제를 진단하기는 어렵다.
  • 천지굴근은 각자 고유의 근육(muscle belly)을 가지고 독립적으로 작용하며, 중지, 환지, 소지의 심지굴근은 공통 근육이 있고 시지의 심지굴근과 상당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의 심지굴근은 독립적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 천지굴근의 기능 손상을 진단하는 방법은 다른 수지를 충분히 신전하고 고정시킨 상태에서 검사하고자 하는 수지를 능동적으로 굽히려고 시도하면 확인할 수 있다.
  • 원위지골이 느슨히 신전된 상태에서 근위지골이 굴곡된다면 천지굴근의 기능적인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외재성-굴곡근-검사

  1. 근위지골과 중위지골을 잡고 손목은 약간 신전된 상태를 취한 후 원위지골을 움직여본다. 만일 심지굴근의 약화가 일어나면 원위지골의 굴곡력이 약화가 된다.
  2. 검사하는 수지를 제외한 모든 수지를 신전시킨 상태로 검사 수지를 굴곡시킨다.

 

내재근(Intrinsic muscle)

내재근

  • 내재근은 손의 매우 섬세하고 고도의 협동이 요구되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손 안의 근육이다. 모두 20개의 근육으로 크게 세 군으로, 첫째는 엄지 두덩(Thenar eminence) 및 새끼 두덩(Hyothenar eminence)을 형성하는 내재근군으로서 엄지 두덩 내재근군은 짧은 엄지 벌림근(Abductor pollicis brevis), 짧은 엄지 굽힌근(Flexor pollicis brevis), 엄지 맞섬근(Opponens pollicis), 긴 엄지 벌림근(Abductor pollicis longus)이 있으며 정중신경과 자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둘째는, 뼈 사이근(Interosseous muscle)이고 셋째는, 벌레근(Lumbrical muscle)이다.

내재근 검사

손관절

  • 내재근의 기능은 환자에서 중지를 축으로 수지들을 외전 및 내전 시킴으로써 알 수 있다. 또한 지간 관절들을 신전시킨 상태로 중수지관절(MCP joint)을 굴곡시키는 동작을 통하여 내재근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 내재근의 마비는 중수지관절의 과신전과 수지의 갈퀴 모양 변형이 발생하거나 혹은 수지를 신전하려고 할 때 오히려 지간 관절들이 굴곡되는 증상을 통해 알 수 있다.
  • 벌레근(충양근)의 기능은 수지를 최대한 굴곡시킨 상태에서 중수지관절을 고정하고 지간 관절을 천천히 신전시켜 봄으로써 알 수 있다.
  • 골 간극에 긴장이나 구축이 발생한 경우에는 중수지관절을 신전시킨 상태에서 지간 관절을 능동적 혹은 수동적으로 굴곡시킬 수 없다.
  • 중수지관절이 신전되었을 때 지간 관절이 수동적으로 신전된다면 골간근의 긴장이나 구축이 있음을 의미한다. 반대로 중수지관절이 굴곡되었을 때 지간 관절이 수동적으로 신전된다면 외재 신전건이 중수지관절 근위에 부착되어 있음을 뜻한다.
반응형

댓글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