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수부외과학] 신전건(Extensor tendon)

.이사원 2021. 6. 8.
반응형

[수부외과학] 신전건(Extensor tendon)

  • 수부의 건 손상은 골절 다음으로 흔하게 발생하는 손상이며, 수부외과 영역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손상이지만 건의 해부학적 구조가 복잡하여 적절한 복원 및 재활치료가 되지 않으면 큰 기능 저하를 남길 수 있다.
  • 수부 건의 해부학 및 치유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숙지하는 것이 적절한 치료를 위해 필요하다.

 

<차례>
수근부&수배부 신전건
지골 부위 신전기전

Elson 검사
신전건의 영양공급

수근부&수배부 신전건

수근부-신전건

수근부 신전건

  • 수근부 신전건은 주관절 또는 전완부에서 기시하여 수근 관절의 근위부에서 대부분 근건 연결부(musculotendinous junction)가 되고, 이후 건의 형태로 바뀌어 원위부로 연결된다.
  • 수근부의 신전건은 모두 6개의 섬유 골성 건초를 통과하게 되며, 이를 신전 구획(extensor compartment)라고 한다. 제1 구획은 장무지 외전건(APL)과 단무지신건(EPB), 제2 구획은 장요측수근신건(ECRL)과 단요측수근신건(ECRB), 제3 구획은 장무지신건(EPL), 제4 구획은 총수지신건(EDC)과 고유시지신건(EIP), 제5 구획은 소지신건(EDM), 제6 구획은 척수근신건(ECU)이 지난다.

 

수배부-신전건

수배부 신전건

  • 수배부에서는 총수지신건이 쉽게 관찰되며, 중수지관절의 근위부에 환지의 총수지신건에서 중지와 소지의 총수지신건으로 연결되는 건 연결이 튼튼하게 형성되어 있다. 중지에서 시지로 연결되는 건 연결도 존재하지만 앞서 설명한 부분보다는 연결이 덜 튼튼하다.
  • 시지와 소지는 고유시지신건과 소지 신건이 별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중지와 환지와는 달리 다른 중시 지관절이 함께 굴곡되어 있어도 독립적으로 신전이 가능하다.
  • 고유시지신건을 이식을 위해 제거하였거나 소지 신건의 손상이 발생했다면, 독립적인 신전은 불가능하다.
  • 외재성 신전건은 기본적으로 중수지관절(MCP joint)을 신전하는 역할을 한다. 외재성 신전건은 중수지관절 부위에 중심에 위치하고 있어 주수 지관절의 신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골 부위 신전기전

지골관절부위-수지-단면도

근위 지골 부위 신전기전

  • 근위 지골 부위에서의 신전기전은 수지 신전건과 내재근에 의해 매우 정교하고 복잡하게 구성된다.
  • 내재근은 충양근과 골간근이 있으며 수지의 외측으로 지나고 중수 지관절의 굴신운동의 축보다 약간 수장측으로 지나고 있어 중수지관절의 굴곡 및 지간 관절의 신전을 돕는다.
  • 근위 지골 부위에서 내재근은 중앙건(central slip)의 형성에 기여한다.
  • 외재성 신전건은 시상대(sagittal band)를 지나며 근위 지골 부위에서 세 갈래로 나뉘어 중앙 건과 측부대 형성에 기여한다.

 

수지부-신전건

중위 지골 부위 신전기전

  • 중위 지골 부위의 축부대는 근위 지간 관절의 배 측 원위부에서 삼각인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횡 망상 인대(transverse retinacular ligament)에 의해 굴곡건 건초에도 연결되어 있다.
  • 중앙 건(central slip)은 중위 지골의 근위 배부에 부착되어 근위 지간관절 신전의 초기 운동을 돕는다. 그러나 근위 지간 관절의 신전은 삼각인대, 측부대, 횡 망상 인대가 정상적으로 기능을 한다면 중앙 건이 없는 경우에도 가능하다.
  • 경상 지대 인대(oblique retinacular ligamen)는 근위 지간 관절 부위의 굴곡 건초에서 기시하여 배측으로 종말 건에 부착되는 인대이다. 이 인대는 이론적으로 근위 지간 관절이 신전하면 팽팽해지며 원위 지간 관절이 신전되고, 원위 지간 관절이 굴곡하면 근위 지간 관절에서 팽팽해지며 근위 지간 관절을 굴곡한다.

 

Elson 검사

수지-신전기건

  • 근위 지간관절을 수동적으로 굴곡시키는 경우 중앙건의 부착 부위는 원위부로 당겨지게 되고 종말건과 중앙 건 사이의 측부대는 느슨해진다. 이렇게 되면 근위 지간 관절을 수동적으로 신전시킨 경우보다 원위 지간 관절을 쉽게 굴곡시킬 수 있다.
  • 근위 지간관절을 완전 굴곡시켰을 경우 원위 지간 관절의 완전 굴곡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 위와 같은 기전으로 만일 근위 지간 관절을 완전 굴곡시켰을 경우 측부대의 느슨함으로 인해 원위 지간관절의 완전 신전은 불가능하다.
  • 만일 중앙건이 손상되었거나 기능이 불충분한 경우 측부대의 느슨함이 사라지게 되며, 근위 지간관절이 완전 굴곡이 되더라도 지간 관절의 신전이 가능하게 된다.
  • 수동적으로 근위 지간 관절을 90도 굴곡시키고 근위 지간 관절의 신전을 제한한 뒤 환자에게 원위 지간 관절의 능동적 신전을 시켜본다. 만일 중앙건의 손상이 있는 경우, 근위 지간 관절을 신전할 수 없지만 측부대의 느슨함이 사라져 있기 때문에 원위 지간관절의 신전이 되고 과신전까지 시행할 수 있다.
  • Elson검사는 수지부분 마취하에 시행하는 것이 좋으며, 검사자가 근위 지간 관절을 수동 굴곡시킨 상태에서 원위 지간관절을 관찰하고 건측 손과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이 좋다.

 

신전건의 영양공급

신전건-혈액-공급

  • 신전건의 혈액공급은 일정한 동맥이 있는 것이 아니고 수지 고유 동맥에서 갈라진 여러 개의 그물망처럼 가는 혈관으로 혈액이 공급된다.
  • 신전건의 배측으로는 각각의 관절 부분에 혈관이 특히 많이 분포하고 있지만 수장 측 관절 부분에 혈관은 없다.
반응형

댓글

추천 글!